전체 516

조선혁명선언

신채호 | 토지 | 500원 구매
0 0 655 3 0 68 2018-08-28
朝鮮革命宣言[조선혁명선언] 신채호(申采浩)가 1923년 1월 의열단(義烈團)의 독립운동이념과 방략을 이론화해 천명한 선언서. 의열단은 1919년 11월 만주 길림성(吉林省)에서 김원봉(金元鳳) 등 한국독립운동자 13명으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로서 암살·파괴·폭동 등 폭력을 중요한 운동방략으로 채택하였다. 그들은 파괴의 다섯 가지 대상으로 조선총독부·동양척식회사(東洋拓殖會社)·매일신보사, 각 경찰서 및 기타 왜적의 중요 기관으로 정해 ‘오파괴(五破壞)’라 하였다. 암살의 일곱 가지 대상으로 조선총독과 고관, 일본군부수뇌·대만 총독·매국노·친일파 거두·적탐(敵探, 밀정) 및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등을 열거, ‘칠가살(七可殺)’이라 하였다.

무명

이광수 | 토지 | 1,000원 구매
0 0 296 3 0 23 2018-08-23
이광수(李光洙)의 단편소설. 1939년 『문장(文章)』 창간호에 발표되었다. 이광수가는 동우회사건(同友會事件)으로 옥고를 치르면서 경험을 바탕으로 탈고한 작품이다. 입감한 지 사흘째 되는 날 ‘나’는 병감으로 보내진다. 과식과 악담으로 세월을 보내는 사기범 윤과 마름 노릇을 하던 방화범 민노인을 그곳에서 만나게 된다. 민이 병감으로 옮긴 뒤, 정이라는 평안도 출신의 사기범이 들어오자 윤과 정은 쉴새없이 다툰다. 나와 윤과 정이 다시 옮겨간 방에서 다시 민을 만나고, 기자 출신으로 공갈 취재를 하였다는 강을 만나자 윤과 정은 기가 죽고 만다. 민이 복막염으로 병보석되어 출감한 뒤, 옆방에서는 장질부사를 앓던 청년 하나가 죽어 나가고 윤은 폐결핵으로 다시 전방..

나비

노천명 | 토지 | 1,000원 구매
0 0 301 8 0 37 2018-08-23
노천명의 수필5 1. 나비 2. 나의 생활백서 3. 시골뜨기 4. 나의 이십대 5. 시의 소재에 대하여 6. 설야산책

어머니

나도향 | 토지 | 1,000원 구매
0 0 275 3 0 7 2018-08-22
어머니 춘우는 담배를 재떨이에다가 아무렇게 비비고, 팔로 깍지를 껴서 그 위에 머리를 얹고, 천장 위만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다가, 다시 오지도 않는 잠을 청하는 듯이 눈을 감았다. 춘우의 조그마한 눈 속은 얇은 껍질 사이로 스미 어드는 광선으로 말미암아 어두려 하는 저녁도 같고 밝으려 하는 새벽도 같 이 어두움에 약간의 광명이 섞이어 무한대(無限大)의 공간을 펴놓았다. 모 든 환상(幻想)을 지웠다가 그리었다 차려 놓았다 집어 치웠다 뛰놀게 하다 사라지게 하기에 아무 거칠 것이 없는 큰 무대이며 끝없는 마당이며 네 귀 퉁이를 헤아릴 수 없는 캔버스(畫布[화포])다. ..

사랑의 꽃

권구현 | 토지 | 1,000원 구매
0 0 396 75 0 32 2018-08-20
권구현 시집 빩안닢새 감닢새는 남국의 자랑입네 북방의 새악씨이 구경인들 하엿스며 초롱초롱 달린감을 하나 둘 따나보면 오색채단 감닙새도 하나 둘 나려집네 나려지면 아희들은 속곰작란 옷을 깁고 아까씨넨 쓸어모아 마눌밭을 덮어줍네 빩안닢새 감닢새는 이고장의 자랑입네 자랑입네 한닢새를 고히봉해 드리옵네 빛이어던 팔안빛이 아니어던 빩안빛이 청춘의 타는혼을 그얼마나 흔드옵나

장붕익의 용맹

연성흠 | 토지 | 1,000원 구매
0 0 264 15 0 23 2018-08-12
연성흠단편소설집 01.희망의 꽃 02.희망에 빛나는 소년 03.창수의 지각 04.참아야 한다 05.참된 용자 06.장붕익의 용맹 07.은희의 노래 08.용길의 기공 09.양만춘 장군 10.못난 쇠돌이 11.먹으면 죽는 사탕 12.가난의 설움 13.눈물의 은메달 ..

물레방아

나도향 | 토지 | 1,000원 구매
0 0 338 3 0 5 2018-08-14
1925년 9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나도향의 단편소설. 「뽕」과 함께 나도향의 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김유정의 「소낙비」나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과 같이 물레방앗간의 정사를 매개로 한 애정의 비극을 그린 작품이다. 즉 마을에서 부자이면서도 세력이 있는 신치규와 그 집 막실(幕室)살이를 하면서 그의 땅을 경작하는 이방원 사이에 벌어지는 애정의 비극을 여실하게 그린 소설인 것이다. 신치규는 후사(後嗣)를 얻기 위한다는 핑계로 할멈에게 다리를 놓아 이방원의 아내를 유혹한다. 새침한 얼굴에 긴 눈썹과 예쁜 입에 오뚝한 콧날에 후리후리한 키인데다가 이지적이면서 창부형인 그녀는 아들만 낳아 주면 재산을 넘겨주겠다는 감언이설을 믿고 신치규에..

을지문덕

김동인 | 토지 | 1,000원 구매
0 0 289 3 0 2 2018-08-15
김동인의 을지문덕 1944년 7월 《조광》에 발표되었다가 총독부 검열로 중단된 「분토(糞土)의 주인」과 1946년 5월에서 9월까지 《신천지》에 4회 연재되다 중단된 「糞土」를 개제한 작품이다. 작가의 병환인 뇌막염으로 인해 연재 중단된 미완의 장편소설로 김동인1)의 마지막 작품에 해당한다. 현재 신문 자료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연재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소제목을 붙여 가는 방식으로 을지문덕의 일대기를 토막 형식으로 전하고 있다. 김동인 장편소설의 일관된 흐름이기도 한 ‘신라 중심 사관 극복’이라는 역사관을 담고 있으며, 이는 ‘고구려 정통론’으로 구체화된다. 고구려의 웅장한 스케일과 거인의 풍모를 과시하여, 일제 강점하의 침체된 민족혼을 고취시키기 위한 작가..

감자꽃

권태응 | 토지 | 1,000원 구매
0 0 547 115 0 42 2018-08-07
권태응은 토속적인 내용을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지었는데, 특히 아동들에 깊은 애정을 갖고 동시를 많이 발표했다. 동시이기는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애국과 항일의식이 담겨져 있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감자꽃』이 있는데, 여기에 실려 있는 대표적인 시 「감자꽃」은 일제의 창씨개명에 반항하려는 의도를 갖고 지은 작품이다. 이밖에 「고추밭」, 「율무」, 「옹달샘」, 「도토리들」, 「산샘물」, 「달팽이」 등의 작품을 남겼다. 1968년 5월 5일 제86회 어린이날에 윤석중 등의 후원으로 충청북도 충주의 탄금대 내에 감자꽃노래비를 세웠다.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서는 감자꽃노래비 앞에서 매년 10월 권태응을 기리는 ‘감자꽃백일장’을 개최하고 있다. 20..

홍경래전

이명선 | 토지 | 1,000원 구매
0 0 315 16 0 17 2018-08-12
이명선 홍경래전 순조 11년 9월, 홍경내는 늙은 어머니를 버리고 공부하겠다고 집을 떠난 지 십 년만에 고향인 평안도 용강군 화장곡에 돌아왔다. 경내는 집에 돌아온 지 얼마 안 되어서 가족들을 데리고 집을 떠나간다고 하며 잔치를 벌인 후 다복동으로 이사를 간다. 경내는 스무 살 전후에 과거 시험을 몇 차례 보았지만 연거푸 낙방한다. 그리고 자신은 실력 때문이 아니라 과거 제도의 불평등과 서북 사람들에 대한 차별 때문에 시험에 합격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부패한 정부에 대한 불만을 가슴에 품고 평안도를 중심으로 하여 일대 반란을 일으킬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우군측, 이히저, 김창시 등 글은 읽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과 홍총각, 이제초, 김사..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