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土地
U
土地
분류
전체보기
부동산
한국문학
전자책관련
기타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486
0
0
0
38
0
4년전
0
강경애 시와 수필
강경애의 시와 수필과 평론
EPUB
구매시 다운가능
1.7 MB
에세이
강경애
토지
모두
「인간문제」, 「지하촌」 으로 알려진 소설가 강경애의 시와 수필 염상섭 씨의 논설 「명일의 길」을 읽고 (1929년) 조선여성들의 밟을 길 (1930년) 양주동 군의 신춘평론 - 반박을 위한 반박 (1931년) 간도풍경 (1932년) 간도를 등지면서, 간도야 잘 있거라 (1932년) 꽃송이같은 첫 눈 (1932년) 커다란 문제 하나 (1933년) 간도의 봄 (1933년) 나의 유년 시절 (1933년) 원고 첫 낭독 (1933년) 여름 밤 농촌의 풍경 점점 (1933년) 이역의 달밤 (1933년) 송년사 (1933년) 간도 (1934년) 표모의 마음 (1934년) 두만강 예찬 (1934년) 고향의 창공 (1935년) 장혁주 선생에게 (1935년) 어촌점묘 (1935년)..
1,000
원 구매
목차
36
소개
저자
댓글
0
판권 페이지
표제지
강경애의 시
가을
오빠의 편지 회답
참된 어머니가 되어주소서
숲속의 농부
오늘 문득
이 땅의 봄
단상(斷想)
산딸기
강경애의 수필과 평론
어촌점묘
간도를 등지면서
자서소전
내가 좋아하는 솔
꽃송이같은 첫 눈
커다란 문제 하나
장혁주 선생에게
간도의 봄
조선 여성들의 밟을 길
나의 유년시절
원고 첫낭독
양주동 군의 신춘평론
기억에 남은 몽금포
여름밤 농촌의 풍경 점점
이역의 달밤
송년사
간도
봄을 맞는 우리집 창문
표모의 마음
두만강 예찬
간도야 잘 있거라
고향의 창공
불타산 C군에게
약수
「인간문제」, 「지하촌」 으로 알려진 소설가 강경애의 시와 수필
염상섭 씨의 논설 「명일의 길」을 읽고 (1929년)
조선여성들의 밟을 길 (1930년)
양주동 군의 신춘평론 - 반박을 위한 반박 (1931년)
간도풍경 (1932년)
간도를 등지면서, 간도야 잘 있거라 (1932년)
꽃송이같은 첫 눈 (1932년)
커다란 문제 하나 (1933년)
간도의 봄 (1933년)
나의 유년 시절 (1933년)
원고 첫 낭독 (1933년)
여름 밤 농촌의 풍경 점점 (1933년)
이역의 달밤 (1933년)
송년사 (1933년)
간도 (1934년)
표모의 마음 (1934년)
두만강 예찬 (1934년)
고향의 창공 (1935년)
장혁주 선생에게 (1935년)
어촌점묘 (1935년)
봄을 맞는 우리 집 창문 (1936년)
불타산 C군에게 - 그리운 고향 (1936년)
기억에 남은 몽금포 (1937년)
자서소전 (1939년)
내가 좋아하는 솔 (1940년)
약수 (1940년)
시
책 한 권 (1924년)
가을 (1925년)
다림불 (1926년)
오빠의 편지 회답 (1931년)
참된 어머니가 되어 주소서 (1932년)
숲속의 농부 (1933년)
오늘 문득 (1934년)
이 땅의 봄 (1935년)
단상 (1936년)
산딸기
강경애(姜敬愛)
1906.4.20 ~ 1943.4.26
1906년 4월 20일 황해도 송화 출생
장연(長淵)으로 이주하여 1925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했으나 동맹휴학사건으로 퇴학
동덕여학교에 편입하였으나 1년후 중퇴
양주동과 사귀었으나 파탄후 귀향하여 야학 등 사회활동에 투신한다.
1931년에 결혼하고 간도에 살면서 작품활동을 하며 조선일보 간도지국장 지냈다.
1944년 남편과 함께 간도에서 귀국하여 요양하던 중 장연에서 작고.
1931. 조선일보에 발표한 「파금(破琴)」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어머니와 딸」같은해에 발표하고 단편소설 「부자」(1934)·「채전(菜田)」(1933)·「지하촌」(1936) 등을 발표했다.
주요작품으로 장편소설 「소금」(1934)·「인간문제」(1934), 단편으로「축구전(蹴球戰)」(1933)·「유무(有無)」(1934)·「모자(母子)」(1935)·「원고료이백원」(1935)·「해고(解雇)」(1935)·「산남(山男)」(1936)·「어둠」(1937) 등이 있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土
土地
분류
전체보기
부동산
한국문학
전자책관련
기타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