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은 1930년대에 이미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한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당시의 시단(詩壇)을 대표했던 시인이었다. 김기림과 같은 사람은 “한국의 현대시가 지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평하기도 했다.
그의 시는 크게 세 시기로 특징이 구분되어 나타난다. 첫 번째 시기는 1926년부터 1933년까지의 기간으로, 이 시기에 그는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를 중시하면서도 향토적 정서를 형상화한 순수 서정시의 가능성을 개척하였다. 특히 그는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다듬은 절제된 표현을 사용하여 다른 시인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을 받고 있는 ‘향수’(조선지광, 1927)가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두 번째 시기는 그가 ≪가톨릭청년≫의 편집고문으로 활동했던 1933년부터 1935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그는 가톨릭 신앙에 바탕을 둔 여러 편의 종교적인 시들을 발표하였다. ‘그의 반’, ‘불사조’, ‘다른 하늘’ 등이 이 시기에 발표된 작품들이다. 세 번째 시기는 1936년 이후로, 이 시기에 그는 전통적인 미학에 바탕을 둔 자연시들을 발표하였다. ‘장수산’, ‘백록담’ 등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들로, 자연을 정교한 언어로 표현하여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한 인상을 준다고 해서 산수시(山水詩)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지용은 참신한 이미지와 절제된 시어로 한국 현대시의 성숙에 결정적인 기틀을 마련한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분단 이후 오랜 기간 동안 그의 시들은 다른 납북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다 수많은 문인들의 청원으로 1988년 3월 해금(解禁)되어 대중에게 다시 알려지기 시작했고, 1989년에는 ‘지용 시문학상’이 제정되어 박두진이 1회 수상자로 선정된 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995년에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향수’가 가요로 만들어져 발표되기도 했으며, 2003년 5월에는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시집으로 ≪정지용 시집(鄭芝溶詩集)≫(시문학사, 1935), ≪백록담(白鹿潭)≫(문장사, 1941), ≪지용시선(芝溶詩選)≫(을유문화사, 1946)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문학독본(文學讀本)≫(박문서관, 1948)과 ≪산문(散文)≫(동지사, 1949)이 전해진다. 그리고 이들 단행본에 실리지 않은 시와 산문들도 모아서 1988년 민음사에서 ≪정지용 전집(鄭芝溶全集)≫이 시와 산문으로 나뉘어 2권으로 발간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지용 [鄭芝溶] (두산백과)
1902년 6월 20일(음력 5월 15일) 충청북도 옥천(沃川) 하계리(下桂里)에서 약상(藥商)을 경영하던 정태국(鄭泰國)과 정미하(鄭美河)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연못의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태몽을 꾸었다고 해서 아명(兒名)을 지룡(池龍)이라고 하였고, 이름도 지용(芝溶)이라고 하였다. 가톨릭 신자로 세례명은 프란시스코(方濟角)이다.
9세 때인 1910년 옥천공립보통학교(지금의 죽향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2세 때인 1913년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했다. 17세 때인 1918년 서울로 올라와 휘문고등보통학교(徽文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였다. 휘문고보에 재학하면서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搖籃)≫을 발간하였으며, 1919년 3ㆍ1운동 당시에는 교내 시위를 주동하다가 무기정학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1919년에 창간된 월간종합지 ≪서광(瑞光)≫에 ‘3인’이라는 소설을 발표하였다.
1922년 휘문고보를 졸업한 뒤에 시작(詩作) 활동을 하였고, 휘문고보 출신의 문우회에서 발간한 ≪휘문(徽文)≫의 편집위원을 지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23년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일본 교토[京都]의 도시샤[同志社] 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 대학에 다니던 1926년 유학생 잡지인 ≪학조(學潮)≫ 창간호에 ‘카페 프란스’ 등 9편의 시를 발표하고, 그해에 ≪신민≫, ≪어린이≫, ≪문예시대≫ 등에 ‘다알리아(Dahlia)’, ‘홍춘(紅椿)’, ‘산에서 온 새’ 등의 시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1929년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뒤에는 휘문고보 영어과 교사로 부임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재임하였다. 1930년에는 박용철(朴龍喆), 김영랑(金永郞), 이하윤(異河潤) 등과 함께 동인지 ≪시문학≫을 발간하고, 1933년에는 순수문학을 지향하는 김기림(金起林)ㆍ이효석(李孝石)ㆍ이종명(李鐘鳴)ㆍ김유영(金幽影)ㆍ유치진(柳致眞)ㆍ조용만(趙容萬)ㆍ이태준(李泰俊)ㆍ이무영(李無影) 등과 함께 9인회를 결성하며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인물로 떠올랐다. 또한 그해에 새로 창간된 ≪가톨릭청년≫의 편집고문을 맡아 그곳에 다수의 시와 산문을 발표하였으며, 시인 이상(李箱)의 시를 소개하여 그를 문단에 등단시키기도 하였다.
34세 때인 1935년 그 동안 발표했던 시들을 묶어 첫 시집인 ≪정지용 시집≫을 출간하였으며, 1939년부터는 ≪문장(文章)≫의 시 부문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趙芝薰), 박두진(朴斗鎭), 박목월(朴木月), 이한직(李漢稷), 박남수(朴南秀) 등을 등단시켰다. 이 시기에는 시뿐 아니라 평론과 기행문 등의 산문도 활발히 발표했으며, 1941년에는 두 번째 시집인 ≪백록담≫을 발간했다. 이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그로 인해 사회 상황이 악화되면서 일제에 협력하는 내용의 시인 <이토>를 ≪국민문학≫ 4호에 발표하였지만, 이후 작품 활동을 중단한 채 은거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한국어와 라틴어를 강의하였고, ≪경향신문(京鄕新聞)≫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했다. 1946년 2월에 사회주의 계열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문학가동맹(朝鮮文學家同盟)의 아동분과 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그해에 시집 ≪지용시선(芝溶詩選)≫을 발간했다. 1947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시경(詩經)≫을 강의하기도 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이화여대 교수를 사임하고, 지금의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 초당을 짓고 은거하며 ≪문학독본(文學讀本)≫을 출간했다. 이듬해인 1949년 2월 ≪산문(散文)≫을 출간했으며, 6월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이 결성된 뒤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참여했던 다른 문인들과 함께 강제로 가입되어 강연 등에 동원되기도 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뒤에는 김기림(金起林). 박영희(朴英熙) 등과 함께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 이후 북한군에 의해 납북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와 시기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데, 1953년 평양에서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북한에서 발행하는 ≪통일신보≫는 1993년 4월에 정지용이 1950년 9월 납북 과정에서 경기도 동두천 인근에서 미군의 폭격으로 사망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발표하기도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지용 [鄭芝溶] (두산백과)
정지용 연보
출생 1902.5.15 ~ 사망 ?
1902 6월 20일 정태국과 정미하의 장남으로 충북 옥천에서 출생.
1910 옥천공립보통학교 입학.
1913 송재숙과 결혼.
1918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 재학 중 동인지 <요람> 간행.
1919 12월 <서광> 창간호에 소설 <3인> 발표.(정지용의 유일한 소설이며, 첫 작품.)
1922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첫 시 작품 <풍랑몽> 집필
1923 일본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과 입학.
1926 시 <카페 프란스>, <산엣색시 들녘사내>, 등의 시 작품 발표.
1929 대학교 졸업 후 휘문고등보통학교 영어과 교사로 재직.
1930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과 동인지 <시문학> 발간. 시 <유리창>, <갑판 위>, <호수 1,2> 발표.
1931 시 <유리창 2>, <석류>, <아침> 발표.
1933 <가톨릭 청> 편집 고문 역임. 시 <해협의 오후 2시>, <임종>, <비로봉>, <시계를 죽임> 등 발표.
1935 첫 시집 《정지용 시집》 출간.
1941 시집 《백록담》 발간.
1945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한국어와 라틴어 강의.
1946 6월 《지용시선》 발간.
1948 평론집 《문학독문》 발간.
1950 한국전쟁 발생 당시 정치보위부로 끌려갔다 평양감옥으로 이감.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